티스토리 뷰
[라이프사이클] : 컴포넌트가 생성~업데이트~죽는 '컴포넌트 생명주기'
렌더링(탄생) ··· 업데이트 ··· 사라지는것 / 새로고침(사망)
'라이프 사이클 함수'는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.
constructor() : 생성자 함수
props 받아오고, state의 기본값도 설정해 줄수 있다.
가장 처음으로 불려오고, 어떤 설정을 만들어 주는 애
constructor(props) {
super(props);
this.state = {
name : "버터호두",
};
}
render()
props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보여주는 애
렌더 당시에 데이터를 수정하면 안됨!
componentDidMount()
마운트(mount) : 컴포넌트가 화면에 나타난다.
첫 렌더가 된 직후 한번만(첫번째만) 실행되는 함수
componentDidUpdate()
state가 변화하면 다시 렌더를 하는데,
두 번 세 번 렌더가 될때 실행되는 함수
componentWillUnmount()
컴포넌트가 DOM에서 제거될때 실행되는 함수
ex) 클릭 event, 스크롤 event 등
어떤 eventListener를 등록했다면 여기에서 해제를 반드시 해줘야 한다.
컴포넌트 없이 이벤트만 남겨줄 순 없으니까!
+
react hook이 생긴 이후로 함수에서도 상태관리가 되서 클래스형은 많이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.
그럼 왜 공부를 해야할까? 싶었는데, 튜터님 말씀은 -
라이프사이클 함수로 제대로 배우면 컴포넌트/상태 생명주기를 명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.
공부할 목적이 분명해졌다.
'TIL > 리액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액트 프로젝트, 사파리 / 아이폰에서 뜨지 않는 문제 해결 (0) | 2021.05.24 |
---|---|
리액트, querySelector는 ref (0) | 2021.05.24 |
[react] 리덕스 (2) | 2021.04.11 |
[리액트] component (0) | 2021.04.06 |
TIL_리액트 # 4 | Ref (0) | 2021.03.23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react-redux
- MDN
- 파이썬
- infinityscroll
- 코어자바스크립트
- 항해99
- 서버사이드
- 주니어코더
- SCSS
- 스파르타코딩클럽
- til
- 자바스크립트
- styled-components
- CRA
- Wil
- 무한스크롤
- 개발자
- 응답
- Throttle
- React
- 브루트포스
- frontend
- JavaScript
- debounce
- 상태관리
- 프론트엔드
- 백준
- 클론코딩
- OKU
- 리액트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